행복으로 가는 인욕 바라밀. > 스님법문


지대방

스님법문

스님법문

행복으로 가는 인욕 바라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도신스님 작성일2015.01.09 조회5,134회 댓글0건

본문

행복으로 가는 인욕 바라밀. 인욕은 자기의 마음에 거슬리는 일에 대하여 노여워 하지 않고 참고 견딤을 말합니다. 이를테면 모욕을 참고 노여움을 일으키지 않음을 말합니다. 참고 견디어 마음을 움직이지 않음을 말합니다. 마음을 안정 시키고 성내지 않음을 뜻합니다. 인욕바라밀이란 인욕을 완전하게 성취한 인욕의 완성을 말합니다. 다시 말하면 인욕은 참고 용서하는 것입니다. 이 세계는 고해이며 그러한 세계에 사는 한 괴로움을 참고 견디는 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가 욕된 일을 당하여 참지 못하는 것은 진실로 내가 있다는 에고(ego)의식 때문이며 보살에게는 그러한 마음이 없습니다. 인욕은 고뇌에 대한 인내, 법을 이해하기 위한 인내, 타인으로부터 받은 해악에 대한 인내 등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그중에서도 세 번째의 인내를 특히 강조하는 것은 여기서도 타인에 대한 배려를 무엇보다도 중시한 것이라 이해됩니다. 모름지기 보살은 득과 실, 명예와 불명예, 칭찬과 비방, 즐거움과 괴로움이라는 여덟가지 세속의 일에 초연해야 합니다. 큰 일을 당하여 이루지 못하는 이유 중에는 능력이 저열하거나 운이 따르지 않았다기 보다 인욕하지 못함으로 성취하지 못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불자는 인욕하고 견디며 수행하는 공부를 아침 저녁 밥 먹듯이 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한 수행이 몸에 배면 운은 자연히 따르는 것입니다. (법화경) '안락행품'에 다음과 같은 말씀이 있습니다. "문수 사리야. 무엇을 보살 마하살의 행할 바라 하느냐. 만일 보살 마하살이 인욕지에 머물러 부드러이 화하고 선에 순종해서 거칠지 아니하고 마음에 놀라지 말 것이며 또다시 법에 행하는 바가 없이 하여 모든 법을 실상과 같이하여 관하고 또한 행하지도 말 것이니 이것을 보살 마하살의 행할 바라 하느니라." 보살의 수행을 쌓는 사람은 매순간 인욕의 마음으로 살아야 합니다. 인욕의 마음에는 성내지 않는 것이니 성내지 않으려면 반드시 교만하지 않는 마음이 바탕에 깔려 있어야 합니다. 마음가짐의 근본은 하나입니다. 남을 업신여기며 성내는 사람은 남이 칭찬하면 우쭐거립니다. 돈이 없다고 아무 일도 못하는 사람은 돈이 생기면 사치하는 사람입니다. 배가 고프다고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사람은 배가 불러지면 졸기나 하는 사람입니다. 어떤 환경이나 어떤 경우에 제약 당하지 않는 사람, 그런 사람이 진정한 인욕을 행하는 사람입니다. 이런 덕행을 쌓고 행동하는 것이 바로 인욕입니다. 인욕은 말로는 쉽지만 실행하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겉으로 그럴듯하게 꾸밀 수는 있어도 마음속으로 성내지 않고 교만하지 않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능엄경)에 다음과 같은구절이 있습니다. " 도산지옥(刀山地獄)이 있다는데 그 지옥은 어떻게 해서 생겨납니까? " " 모든 것이 나에게 맞지 않고 제 마음대로 되지 않으면 성을 내게 된다. 바로 성을 확 내는 순간 칼끝 같은 성질이 삐죽 솟아나게 되고 성내는 일이 많아지게 되면 무수히 많은 칼로 만들어진 칼산지옥이 생겨나느니라." 실로 우리가 성을 내게 되면 바로 그 순간에 칼끝 같은 날카로운 것이 튀어나와 남을 찌르고 나 자신도 찌르게 됩니다. 바로 이것이 칼산지옥이 생겨나는 원인이 되는 것이고 죽고 나면 그곳에 떨어져 큰 고통을 당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 누구를 위해서가 아니라 나 자신의 행복을 위해서 인욕해야 합니다. 실패는 때때로 우리의 마음을 낙엽처럼 만듭니다. 땅에 떨어져 바람 따라 구르고 못 발길에 짓밟히는 낙엽이지만 낙엽도 비바람을 타고 병곡을 활기 있게 날 때가 있습니다. 낙엽도 벽공을 훨훨 나는데 만물 중에 가장 슬기로운 사람이 역경 속에 빠지고 실패하였다고 해서 근심 걱정 속에 빠져서야 되겠습니까? 역경의 불이 사납고 흉악한 것이기는 하지만 결코 두려워할 일만은 아닙니다. 인욕의 갑옷을 입고 넘어서면 오히려 역경의 불이 작용하여 참으로 훌륭한 삶을 이룩해냅니다. 하는 일이 힘에 부치고 벅찰 때는 기도를 통하여 불보살님께 그 벅찬 마음을 바쳐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음이 평화로워지면서 쉽게 일이 풀립니다. 뜻대로 되지 않는 일이 찾아들 때마다 인욕바라밀의 갑옷을 입고 근심 걱정을 떨치고 분연히 일어서는 힘을 길러야 합니다. --------------- 혜성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수덕사말사 서광사 충청남도 서산시 부춘산1로 44 041)664-2001, 2002

Copyright ⓒ 2022 SEOGWANGSA.OR.KR All rights reserved.